[Network] 5G에 왜 3.5GHz, 28GHz 대역을 쓸까.. 그리고 주파수 경매?
in Network on Network

개요
네트워크에서 주파수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간략하게!
주파수의 특징
많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헤서는 고주파
를 사용해야 함.
허나 단점! 고주파
는 직진성이 강하여 방해물을 만나면 되돌아오거나 비나 눈이 오면 전파가 비나 눈에 흡수되거나 소멸됨.
자 그러면 저주파
는? 반대!
저주파
는 회절률이 좋아 벽과 벽 사이의 제한도 쉽게 통과하고 눈이나 비와 같은 자연 현상에 강함.
그러나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적음.
고주파: 많은 양의 데이터 전달 / 장애물에 막혀서 멀리 도달하지 못함
저주파: 적은 양의 데이터 전달 / 장애물을 피해서 멀리 도달 가능
5G 주파수 대역의 특징
주파수의 특징을 알았다! 그러면 요즘 난리치는 5G는 고주파일까 저주파일까?
정답은 고주파! 뿐만 아니라 초고주파까지 사용한다.
5G는 고주파 3.5GHz
과, 초고주파 28GHz
를 사용한다.
그래서 아까 말했듯이 LTE보다 데이터를 많이 많이 전달할 수 있지만,
장애물에 막혀서 멀리 못가기 때문에, 기지국을 하나 세우면 LTE보다 훨씬 작은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:(
아래 그림을 보면 커버리지(도달 가능한 지역)가 얼마나 차이나는지 알 수 있을 거다. source: “5G 서비스 지도 보니…단말기 교체할까 말까?”
주파수 경매
주파수는 정부꺼라서 SKT, KT, LGU+가 돈주고 사서 쓴다!
아래 기사를 보면 이번 5G 상용화를 위해 이통3사가 경매한 결과를 볼 수 있다.
현재 2020년 2월 5G는 3.5GHz를 쓰고있다. 28GHz는 곧 RFP가 나온다고 한다.
- RFP가 뭔지 궁금하면: “이전 게시물”